다양한 유형의 데이트 폭력, 형사전문변호사 조력의 필요성

최근 여배우 A씨가 데이트 폭력 사건으로 징역 8월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받았다는 소식이 전해져 화제가 되었다. A씨는 연인 사이였던 20대 남성 B씨가 자신과 헤어지려고 하자 B씨를 여러 차례 폭행하고, B씨의 집에 무단으로 들어갔으며, 지인들에게 B씨를 비방하는 글을 퍼뜨린 혐의를 모두 인정하였다.
이처럼 대중들의 관심이 집중되는 연예인들마저 데이트 폭력을 행사할 만큼 데이트 폭력 사건의 발생 건수는 시간이 지날수록 점점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경찰청이 발표한 통계에 따르면 올 1월부터 4월까지 데이트 폭력으로 신고된 건수는 4,848건인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작년 이맘때의 3,575건보다 26%가량 증가한 수치다.
폭력은 폭행, 협박, 성폭행, 명예훼손, 절도 등 죄명을 가리지 않고 다양한 모습으로 발생하고 있다. 보통 데이트 폭력은 감정이 격앙되어 있는 상태에서 다수 죄를 한 번에 저지르는 경우가 많아 처벌 수위가 높은 경우가 많다.
안타까운 사실은 데이트 폭력 사건에서의 피해자들이 가해자의 행동을 문제삼지 않고 넘어가는 경우가 많다는 점이다. 그러나 데이트 폭력은 단발성에 그치지 않고 오랜 기간동안 수차례에 걸쳐 이루어지기 때문에,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않으면 계속하여 데이트 폭력의 피해자가 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
실례로 C씨는 D씨와 교제하면서 D씨에게 성관계를 강요하고 협박과 폭행을 가하였지만, D씨가 별다른 저항을 하지 않아 D씨와 사귀는 기간 내내 계속하여 D씨에게 데이트 폭력을 행사한 사건도 있었다. 결국 C씨는 범행 기간이 길고 죄질이 나쁘다는 이유 등으로 실형을 선고받고 법정구속되었다.
데이트 폭력이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데이트 폭력을 범죄라고 인식하지 못하는 사람들이 종종 있다. 그러나 아무리 연인 관계라고 하더라도 범죄 성립에는 아무런 영향이 없으므로, 데이트 폭력도 명백한 범죄 행위에 해당한다.
데이트 폭력을 당하였다면 주변 사람들이나 가까운 수사기관에 반드시 알려야 한다. 상대방이 데이트 폭력을 행사하였다는 증거들을 수집하고, 형사 전문 변호사의 조력을 받아 고소 절차를 진행하는 것이 데이트 폭력의 상대방으로부터 벗어나고 또다른 피해자를 만들지 않는 가장 좋은 방법이다.